Surprise Me!

[현장영상] 한국은행 1년 만에 금리 인상...배경과 전망은? / YTN

2018-11-30 32 Dailymotion

한국은행이 오늘 오전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, 1년 만에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인상 배경은 무엇인지, 앞으로 통화 정책 방향은 어떻게 되는지,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직접 설명회를 가졌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] <br />여러분이 알고 계시듯이 우리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 1.50%에서 1.75%로 인상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키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배경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0월 통화정책방향결정회의 이후의 대외 여건을 보면 세계 경제는 대체로 양호한 성장 흐름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. <br /> <br />주요국별로 보면 먼저 미국은 고용과 소비가 호조를 이어가면서 견실한 성장세를 나타내었습니다. <br /> <br />유로지역과 일본은 각각 자동차 관련 규제, 자연재해 등에 주로 기인하여 3/4분기 성장이 일시 둔화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신흥국에서는 중국이 투자 둔화의 영향으로 3/4분기 성장률이 6%대 중반으로 소폭 낮아졌으나 아세안 국가들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금융시장을 보면 선진국에서는 기업 실적 둔화 우려로 주가와 금리가 하락하는 등 가격 변수가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신흥국에서는 증권투자자금이 재유입되고 통화가치가 상승하는 등 금융시장 불안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실물 경제는 설비와 건설투자가 조정을 받고 있지만 소비가 완만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수출도 양호한 흐름을 보이면서 잠재성장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의 성장 경로에 있어 불확실성이 높기는 하지만 최근과 같은 서장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물가는 농산물 및 석유류 가격의 오름 폭이 확대되면서 10월 상승률이 물가 목표 수준인 2%를 나타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7월 이후 1% 내외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목표 수준 내외를 나타내다가 다소 낮아져 1%대 중후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1% 내외에 머물러 있는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국내 금융시장에서는 지난달 크게 확대되었던 주요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11월 들어 다소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가는 주요국 주가 움직임에 영향을 받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3011415614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